정부가 업체당 2억 원의 정책자금인 "소상공인 졸업후보기업 자금"을 상시접수로 바꾸었습니다. 예산 소진 시 조기마감이 될 수 있으니 소상공인 졸업후보 기업이 무엇이고 대상자가 어떻게 되는지 잘 확인하셔서 여기에 해당되시면 운전자금 2억 원, 시설자금 10억 원, 정책자금을 꼭 받으시기 바랍니다.
혁신성장촉진자금 내에 포함되어 있는 자금으로, 이번 연도에 새로 나와서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이 계시고 그래서 신청을 못하신 분들도 많이 계십니다. 모르셔서 신청자가 많지 않기 때문에 경쟁도 심하지 않아 지원받기에 좋습니다.
그러면 졸업후보기업이 무엇인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소상공인 졸업후보기업 자금은 혁신형에 속합니다. 대부분이 혁신성장촉진자금 신청하실 때 일반형으로 신청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반형은 키오스크를 사용하는 경우나 테이블 오더를 사용하는 경우, 즉 스마트기술을 사용하는 경우에 해당합니다.
대부분 여기에 해당하는 분들이 많아서 혁신형은 관심을 잘 갖지 않습니다. 그런데 생각보다 소상공인 졸업후보기업 자금이 올해 새로 나왔고, 생각보다 경쟁자가 비교적 적습니다.
그리고 이번에 수시접수로 바뀌어 신청하기에 용이합니다. 원래는 직접 대출 기간만 신청할 수 있었는데, 3월 13일(목)부터 상시접수로 바뀌었습니다.
혁신형은 자금 지원 예산이 일반형보다 많습니다. 운전자금 2억 원, 시설자금이 10억 원이 넘습니다.
대상자는 국세성 신고매출 기준 최근 3년 평균 매출액이 소기업 매출 기준의 30% 이상이면서, 소상공인 상시 근로자 수 상한보다 최대 2명이 적은 소상공인이어야 합니다. 1인 소상공인은 해당이 없으며 3명이면 해당이 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소상공인 졸업후보기업은 숙박 및 음식점업의 경우, 즉 소기업으로 평균매출액이 10원 억 이하, 소상공인 상시근로자 수가 5명 미만으로 최근 3년 평균매출액이 3억 원 이상 ~ 10억 원 이하이어야 하고, 소상공인 상시 근로자 수는 3명 이상 ~ 5명 미만이면 신청대상이 되어 이 자금을 신청하실 있습니다.
대출금리를 확인해보면, 정책자금 기준금리(분기별 변동금리) + 0.4% P입니다. 혁신성장촉진자금의 기준금리를 보면 2.98%이고, 가산금리는 +0.4% P이므로 대출금리는 연 3.38%이므로 높지 않아 조건이 상당히 좋습니다.
대출기간은 자금용도별 대출기간을 적용합니다. 운전자금은 5년이며, 거치기간은 2년 이내에서 연단위로 선택이 가능합니다. 시설자금은 8년이며, 거치기간은 3년 이내에서 연단 위로 선택이 가능합니다.
대출한도는 유형별 대출한도를 적용하며,혁신형과 일반형으로 나누어집니다. 대부분은 일반형으로 신청하시는데, 일반형은 동일기업 당 연간 운전자금 1억 원, 시설자금 5억 원이며, 혁신형은 한도가 훨씬 큰 규모로 지원이 됩니다. 동일기업 당 연간 운전자금 2억 원, 시설자금 10억 원 이내입니다.
신청방법은 소상공인정책자금 사이트(https://ols.semas.or.kr)에서 신청하시면 됩니다. 고령층 등 디지털 소외 소상공인의 경우에는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관할 지역 센터에 방문하셔서 접수가 가능하십니다.
신청기간은 원래 3월 4일 ~ 3월 10일 기준으로 집계가 마감이었으나, 3월 13일(목)부터 소상공인 졸업후보기업 유형에 한하여 상시접수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소상공인을 확인하는 방법은 업종별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광업, 제조업, 건설업, 운수업은 상시 근로자 수가 10명 미만이어야 하며, 그 밖의 업종은 상시 근로자 수가 5명 미만이어야 합니다.
대출이 가능한지 꼼꼼히 잘 확인하고 신청하셔서 자금 지원 혜택을 꼭 받으시기 바랍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홈" 2세 미만 신생아 가구 일반공급 물량 50% 우선 공급 (0) | 2025.03.27 |
---|---|
희망지원금 등 지원금 신청 (0) | 2025.03.23 |
소상공인 1,000만 원 안심통장 신청 (0) | 2025.03.19 |
회당 30만 원 소상공인 컨설팅 지원 (0) | 2025.03.18 |
250만 원 경영환경개선지원금 지원 (0) | 2025.03.13 |
서울시 소상공인 고용보험료 0원 (0) | 2025.03.07 |
2025년 영유아 보육서비스 사전신청 (0) | 2025.02.15 |
160만원 소상공인 고효율기기 지원금 신청 (0) | 2025.02.14 |